본문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메뉴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

수정일
2025-07-29
SHARE 페이지주소 복사하기 인쇄

KoGES 20년의 여정, 과거와 현재

KoGES 20년의 여정, 과거와 현재

유전 정보 및 생활 혼경 등 개인 질환의 위험 요인을 찾아 예방하기 위한 '정밀의료 패러다임' 등장

  • 2001년 :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KoGES' 시작
    • '보건의료기술진흥사업'으로 유전체역학조사사업의 예비조사 실시
    • 안산,안성 등 지역사회 기반, 일반인 코호트 참여자 모집 시작
  • 2005년 : 코호트 조사 대상집단 다변화와 기반규모 확대
    • 전국 농촌 및 도시지역을 기반으로 일반인 대규모 코호트 사업 확대
    •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상호작용 규명을 위한 모델 코호트 구축 시작 (쌍둥이 및 가족 코호트, 한국인 해외 이주자 코호트, 결혼 이주자 코호트)
  • 2011년 : 노인성 질환 심층연구 착수
    • 지역사회 기반 코호트 참여자 대상 당뇨 및 고혈압, 대사증후군 동의 질환과 연계한 노화 심층연구 추진
  • 2014년 : 코호트 자료 접근성 확대
    • 한국인 만성질환 위험요인 추적 연구 관련 약 21만 건의 대규모 역학정보 공개
  • 2020년 : 노인성 질환 심층연구 강화
    • 노화 및 노인성 질환연구의 중요성이 확대됨에 따라, 농촌기반 코호트 인프라를 활용해 노인성 질환에 관한 심층연구 확대

미래 : 고령화 및 만성질환으로 사회적 부담감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한국인에게 맞는 만성질환 위험요인을 추적해 질병에 대비하는 '예방 중심의 보건의료 시스템 구축'에 주도적 기여

숫자로 보는 KoGES 20년

숫자로 보는 KoGES 20년
  • 20년 : 20년이상 진행된 국내 최장기 동일집단(코호트) 사업
  • 235,381명 : 국내 최대 참여자를 확보한 대규모 사업
  • 355,362건 : 생체시료
  • 367,660건 : 설문
  • 178,555건 : 유전정보
  • 1,687건 : 국내외 학술지 논문 게재 편수
  • 1,179건 : 누적 분양 건수 (역학, 유전정보, 인체유래물 포함)
  • 367,660건 : 검진정보

모든 정보는 2023.12 기준

KoGES 데이터의 연구적 가치

KoGES 데이터의 연구적 가치
  • 01 일반인구 집단 대상
    • 특정 질환의 고위험군이 아닌 일반연구 집단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므로, 생활습관에 의해 발현되는 질환의 요인을 효과적으로 규명할 수 있습니다.
  • 02 한국인 질병 맞춤 예방
    • 한국인의 생활습관에 의한 질병의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표지자를 발굴할 수 있어 만성질환의 예방과 조기진단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03 광범위한 조사 항목
    • 건강수준, 건강형태, 식이습관을 비롯하여 유전정보(DNA) 등 매우 광범위하고 충실한 자료를 구축하였습니다.
  • 04 체계적인 조사 주기
    • 2001년부터 2~4주기로 코호트 참여자를 재접촉하여 조사 및 검진을 수행하며 체계적으로 반복적인 추적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 05 20년 이상의 장기 추적조사
    • 2001년부터 20년 이상 진행된 국내 최장기 코호트 조사사업으로서 약 23만 5천여 명의 대규모 코호트를 구축하였습니다.


  •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업(KoGES)에 참여해주신 참여자와 조사원의 헌신에 감사드립니다.
conn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