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메뉴

백신면역연구

수정일
2025-06-11
SHARE 페이지주소 복사하기 인쇄
개요
  • 국내 유행 감염병(법정 관리 감염병,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 포함)에 대한 모니터링과 대응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하기 위해 면역도 조사 및 국내 도입 백신의 효과 평가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내용
  • 1) 국가예방접종 대상 감염병 면역도 조사
    • 국가 관리 감염병에 대한 예방 대책 수립 및 예방접종 효과 분석을 위해 예방접종 대상 감염병에 대한 국가 주도의 면역도 조사를 정기적으로 계획하여 수행하고 있습니다.

      * (관련) 『24년 질병관리청 9대 중점과제 6-2. 예방접종 감염병 면역도 조사, 인플루엔자 유효성 평가』

    • 국가 관리 감염병 16종*에 대한 5년 주기 면역도 조사 수행으로 유행 위험을 사전에 평가하고, 감염병 돌발 유행에 대비, 방역 및 예방접종 정책에 대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 (국가 관리 감염병 16종) 홍역, 수두, 백일해, 일본뇌염, 유행성이하선염, 풍진, 폴리오, A형 간염, 코로나19, HPV, 인플루엔자, B형 간염, 파상풍, 디프테리아, RSV, 결핵

    • 우리 국민의 감염병에 대한 항체양성률(항체가)를 확인하고, 감염취약집단을 파악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방역대책 및 예방접종 정책의 근거로 제시하여 국민의 이해도 및 참여도 향상을 위해 활용되었습니다.
      • (2019년) 홍역, 유행성이하선염, 풍진에 대해 0~60세 3,550명
      • (2020년) A형 간염에 대해 10~59세 3,998명
      • (2024년) 홍역, 수두, 백일해, 일본뇌염에 대해 0~60세 이상 1,808명
    • 2025년은 유행성이하선염, 풍진에 대한 조사를 수행할 예정이며, 주기적인 면역도 조사를 통해 감염병의 변화하는 발생 및 유행 양상, 감염취약집단 등 유행 위험 요인 등을 도출하고 있습니다.
  • 2) 지역사회 기반 대표표본 코로나19 항체양성률 조사
    • 신종 감염병(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이에 대한 우리 국민의 면역 수준 및 감염취약집단 등 유행 위험 요인 확인을 위해 전국단위 대규모 항체양성률 조사를 수행하였습니다.
    • 지역, 연령, 성별, 유병률 등을 고려 전국 17개 시·도 만 5세 이상 주민 1만명의 대상자를 선정하여 설문조사 및 코로나19 특이 항체를 검사를 수행하였습니다.
    • 2022년 8월부터 2024년 6월까지 총 5회* 수행하였으며, 해당 조사를 통해 지역사회의 감염 또는 백신 접종으로 형성된 항체보유율의 변화 및 감염 취약 집단을 파악하였고, 특히 고령층 등 고위험군 보호 대책 및 예방접종 정책 수립을 위한 과학적 근거로 활용되었습니다.
      • * 1차 조사 9,945명(`22.8.), 2차 조사 7,528명(`22.12.), 3차 조사 9,798명(`23.4.), 4차 조사 11,271명(`23.12.), 5차 조사 9,435명(`24.6.)
  • 3) 코로나19 백신 접종자 면역원성 추구조사 및 연구
    • 2021년 2월 코로나19 예방접종 시행에 따라 국내 도입된 코로나19 백신의 효과 평가, 시간 경과에 따른 지속력 및 해당 시점 유행 변이바이러스에 대한 교차중화능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 코로나19 백신 접종 이후, 코로나19 백신에 의한 장기 면역 반응과 백신 접종 후 감염, 추가접종 이후 시간 경과에 따른 면역 지속능에 대해 추적 조사하고, 주요 변이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 반응 분석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 2024년에는 코로나19와 인플루엔자 백신의 동시/분할 접종군에 대한 접종 후 이상반응, 시간 경과에 따른 항체가·세포면역반응 특성 분석 등 장기 면역원성 추적 연구를 수행 중입니다.
    • 항체양성률 조사 및 백신 접종자 면역원성 분석 연구 수행을 통해 방역 대책 및 예방 접종 정책 수립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한 결과, 정책 활용관련 보도참고자료 7건, 연구논문 24건이 발표되었습니다.
conn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