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연구사업
연구자원
연구성과
알림자료
연구원 소개
연구사업
연구자원
전체 : 24 1/4페이지
[연구성과] 30세 미만 젊은 세대 당뇨병 유병률, 13년간 최대 4배 증가
김화영, 지은정, 김재현* *교신저자
국립보건연구원은 국내 최초로 2008년부터 2021년까지 13년간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기반으로 30세 미만 인구의 당뇨병 유병률 및 발생률 추이를 장기 분석한 결과, 젊은 연령층에서 당뇨병 유병률이 전반적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성별·연령·사회경제적 격차에 따른 불균형도 뚜렷하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연구성과] 국립보건연구원, 폐경 이행기 여성 정서 변화에 대한 대규모 장기 연구 결과 발표
장윤영, 장유수*, 전상원*, 외 13인 *교신저자
국립보건연구원의 지원으로 수행된 폐경 전후 중년 여성 대상의 대규모 종단 연구 결과가 최근 발표되었다. 이번 연구는 「갱년기 여성의 만성질환 예방 관리를 위한 전향적 연구」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으며, 2025년 7월 국제학술지 Maturitas에 게재되었다.
[연구성과] 높은 근력 수준, 비알콜성지방간질환 예방의 초석
박재호(제1저자), 박현영(교신저자)
국립보건연구원 연구진은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KoGES) 자료를 활용하여 40-79세 성인 약 2만 5천명을 대상으로 장기간의 규칙적인 저항성운동(resistance training)을 통해 달성할 수 있는 높은 근력 수준과 비알콜성지방간질환 발생 위험 간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연구성과] 헬리코박터 제균 치료, 위장 질환 넘어 골다공증 예방 효과도 있어
김예진, 최용훈, 김나영*, 전은비, 공성혜 외 8인 *교신저자
국립보건연구원이 지원한 성차기반 질환 연구사업을 통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 제균 치료가 위장관 질환뿐만 아니라 골다공증 예방에도 기여할 수 있다는 장기추적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연구성과] ‘시간제한 식사법’, 지방간 개선 효과 확인
국립보건연구원 학술연구개발 용역과제로 한양대 전대원 교수 연구팀(한국건강관리협회 참여)이 수행한 연구를 통해, 일정 시간에만 식사하고 나머지 시간은 금식하는‘시간제한 식사법(Time-Restricted Eating)’이 대사성 지방간(MASLD) 개선에 효과적임을 간 질환 분야 최고 권위 학술지인 Journal of Hepatology (IF 33) 최신호에 게재되었다.
희귀 유전질환, 더 이상 ‘진단 방랑’ 없이 조기 진단 가능성 높아져
황수진 외, 박미현*, 박현영*, 이범희* *교신저자
국립보건연구원은 서울아산병원 의학유전학센터와 공동으로 유전체 분석 기반의 다학제 진단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임상 현장에 적용해 진단 속도와 정확도를 높였다. 해당 모델은 전장유전체 염기서열 분석(Whole Genome Sequencing, WGS)을 기반으로 다양한 전문가가 협력하며, 진단뿐 아니라 가족 분석과 유전 상담, 임상 개입까지 연계하는 통합적 체계다.
게시물 저장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