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메뉴

병원체자원

수정일
2025-06-23
SHARE 페이지주소 복사하기 인쇄
개요
  • 국가병원체자원은행은 고부가가치 자원을 개발하고자 유용 병원체자원 고도화를 목표로 연구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내용
  • 국가병원체자원은행은 병원체자원의 특성분석을 형태학적 특징에서부터 생화학적 특징, 분자유전학적 특징(MALDI-TOF MS, 16s rRNA 염기서열 분석), 항생제 감수성 분석, 독소 유전자 분석, 혈청형 또는 혈청유전자 분석을 수행하여 다양한 특성을 기반으로 목적별, 질환별, 병원체자원 패널 개발을 수행하였다. 특성 분석 대상 병원체자원은 다제내성 감염질환 유발 세균인 Acinetobacter baumannii (62주),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28주), Pseudomonas aeruginosa (72주), Klebsiella pneumoniae (86주) 4종을 선정하였고, 세부 특성 분석으로는 Sensititre 패널(MIC)을 이용한 항생제 감수성 분석, 항생제 내성 유전자 분석, MLST를 통한 유전자형 분석, 독소유전자 분석, 혈청형 및 혈청유전자 분석 방법이 이용되었다.

    또한 국외 병원체자원을 대체할 국내 자원 개발을 하기 위해 「대한민국약전 일반시험법」에 명시된 국외 참조균주를 대체할 수 있도록 참조균주와 국내 분리 병원체자원 5주 (Staphylococcus aureus NCCP 11854, Pseudomonas aeruginosa NCCP 15783, Escherichia coli NCCP 12480, Salmonella Typhimurium NCCP 16345, Candida albicans NCCP 31538)에 대해 분자유전학적 상동성 분석, 독소유전자, 다좌위염기서열분석(MLST), 특이 항원 및 혈청형 분석, 항생제 감수성 분석하였다.
conn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