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목적
					
						- 인간유전체 정보 수집 및 관리 등을 위해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 바이오빅데이터과  보건의료연구자원정보센터(CODA, 임상오믹스데이터아카이브) 운영
							
								- * 「생명연구자원의 확보ㆍ관리 및 활용에 관한 법률」에 근거 생명연구자원 기탁등록보존기관으로 지정(’17.7.6)
 
							
						 
					
					주요내용
					
						- CODA 홈페이지를 통해 연구자가 직접 연구데이터(유전체정보, 임상정보)를 등록하며, 심의를 거쳐 연구자에게 분양
 
						- 보건의료분야 생명연구자원 관련 정보의 수집·관리·유통을 위해 보건의료연구자원정보센터(CODA)에서의 연구데이터 수집 및 공유 정보시스템 운영
 
						- 보건의료 생명정보의 국가 자원화 및 연구데이터의 2차 활용촉진으로 연구활성화 기반조성
 
					
					
						
						
							보건의료연구자원정보센터 CODA 주요내용 - 기탁(기탁신청, 기탁심의위원히에서 검토, 기탁데이터등록), 분양(등록된 데이터 검색, 분양데이터 신청, 분양 심의위원회 검토, 승인시 데이터 분양, 성과물 등록)
						 
					 
					보건의료연구정보센터(CODA)의 연구데이터 수집 및 공유 절차
					
					
						수집
						
							- 자료제출(연구자)
 
							- 과제 정보 등록, 실험 및 샘플정보 등록, 연구데이터 등록
 
							- 검수 및 검증 (CODA)
 
							- 신청서류 검토, 데이터 검증, 보완요구 공개일정 협의
 
							- 증명서 발급 (CODA)
 
							- 등록완료, 과제정보 공개
 
						
						관리
						
							- 과제정보 검증 (CODA)
 
							- 신청서류 검토, 데이터 검증, 보완요구 공개일정 협의
 
							- 연구데이터 관리
 
							- 데이터 파일 표준화, 공개용 데이터셋 구축, 데이터 백업
 
							- 공개 (CODA 홈페이지)
 
							- 공개 일정 안내, 통계자료 공개, 분양자원 데이터 품질관리 및 중앙인체자원은행에 기탁
 
						
						분양
						
							- 데이터 신청 (관련분야 연구자)
 
							- 연구자 신청서 제출(헬프데스크상담)
 
							- 심의 및 제공 (CODA)
 
							- 분양위원회 심의 결과 통보, 데이터 활용 안내, 데이터 추출, 제공
 
							- 수령 및 활용(신청 연구자)
 
							- 연구데이터 활용, 폐기확인서 제출, 성과물 활용서 제출
 
						
					 
					보건의료 정보센터 구축 정보화 계획 추진 중
					
						- 보건의료분야 연구데이터 관리체계 개선
 
						- 旣 보유한 분석시스템 재구성 통합 및 활용 등 확대방안
 
						- 보건의료연구자원정보센터 인프라 확충‧운영 방안
 
						- 보건의료분야 연구데이터 개인정보보호 및 민감정보 관리방안
 
					
					
						
						
							효율적인 데이터 관리 및 2차 활용 촉진을 위한 보건의료연구자원정보센터(CODA)정보화 전략계획 수립
							ISP (Internet Service Provider)
							
								- 보건의료연구자원 관리체계 개선
 
								- 기존 보건의료 연구자원 분석시스템 통합 및 활용
 
								- 보건의료연구자원 전산 인프라 확충 및 운영
 
								- 보건의료연구자원 개인정보 및 민감정보 관리
 
							
							
								- 데이터수집체계개선 품질 관리 방안 마련
 
								- 분석시스템 재구성 원스톱 분석환경 제공
 
								- 대규모 보건의료연구자원 인프라 구축
 
								- 인간대상연구자원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마련
 
								- 보건의료연구자원 정보센터 확대 구축
 
							
						 
					 
					보건의료연구자원정보센터(CODA) 보유데이터 현황
					
						- 보건의료 정보센터(CODA) 연구데이터 현황 (2017년 7월∼2022년 5월)
 
					
					
					기대효과
					
						- 보건의료분야 연구데이터의 체계적 확보제공을 통해 보건의료분야 연구 효율화, 바이오 빅데이터를 활용한 혁신 연구 환경 제공
 
						- 보건의료분야 연구데이터 국가 관리 체계 확립, 보건의료 재난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통한 국가·사회적 혼란 억제, 보건의료분야 연구‧산업현장에서 잘 활용할 수 있는 활용 인프라 확보
 
					
					
						
						보건의료연구자원정보센터(CODA) 운영 및 고도화를 통한 보건의료 연구데이터 수집·관리·제공
					 
					
						사용자
						
						
							- 연구데이터 등록
 
							- 데이터 유형(임상연구, NGS, DNA Microarray)
 
							- 연구데이터 신청
 
							- 데이터 유형(임상연구, NGS, DNA Microarray)
 
							- 연구데이터 검색
 
							- 데이터 유형(임상연구, NGS, DNA Microarray, 대사체, 단백제), 검색조건(키워드 기반 검색, 연구기관 연구책임자, 파일 포멧, 연관 질환)
 
							- 임상연구 DB
 
							- 질병, 임상, 코드북, 측정값, 연구종류, 통계
 
							- 오믹스 연구DB
 
							- NGS, DNA Mictoaray, 단백제, 대사체
 
							- 실험정보 DB
 
							- 연구대상자, 연구대상자 그룹, 샘플, 샘플 그룹
 
						
						연계
						
							- 한국DOI센터(Digital Identifier of an Object)
 
							- 국가생명연구자원정보센터(KOBIC)
 
							- 질병보건통합관리시스템(CDK)
 
							- 행정안전부 디지털원패스(DIGITAL ONEPA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