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메뉴

보도참고자료

SHARE 페이지주소 복사하기 인쇄
[250729 보도참고자료] 질병청, 헬스케어 분야 인공지능 활용 기업 정책간담회 개최
  • 담당부서헬스케어인공지능연구과
  • 연락처
  • 수정일2025-08-06
  • 조회수80

질병청, 헬스케어 분야 인공지능 활용 기업 정책간담회 개최


- 헬스케어 데이터 보유 및 인공지능 사업 추진 현황 공유

- 민·관 인공지능 협력 및 정책 지원 방안 논의


질병관리청(청장 임승관) 국립보건연구원(원장 박현영)은 7월 29일(화), 헬스케어 분야 전문 기업과 인공지능 연구 개발을 위한 정책간담회를 개최한다.


간담회 개요

 

 

 

(일시/장소) ’25. 7. 29.() 10:00~12:00, 서울역 회의실(서울시 중구 소재)

(참석기관) 질병관리청, 헬스케어 분야 인공지능 활용 민간 기업 9개사

(주요내용) 멀티모달 헬스케어 데이터 및 인공지능 사업 소개, ·관 협력 및 정책 지원 방안 논의


  이번 간담회에서는 정부의 ‘AI 3대 강국 실현’ 전략에 발맞춰, 국내 인공지능 전문가가 ‘헬스케어 데이터를 활용한 인공지능 국내외 현황 및 미래 전략’을 발표하고, 질병관리청은 국립보건연구원이 보유한 ‘헬스케어 멀티모달 데이터 및 인공지능 사업’을 소개한 뒤, 민·관 협력 및 정책 지원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연구원은 국내 최대의 코호트 운영 기관으로,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KoGES)*를 비롯하여 다양한 정상군 및 질환 코호트를 운영하고 있다. 코호트를 통해 최장 25년간의 임상·역학 추적 정보와 유전체, 오믹스, 영상, 마이크로바이옴 등 헬스케어 멀티모달 데이터를 구축·공개하여 인공지능 연구 생태계 조성을 위한 기반 마련에 힘쓰고 있다.

 * 한국인유전체역학조사사업(KoGES) : 한국인의 만성 질환의 위험요인을 규명하여 맞춤·예방의학 구현의 과학적 근거를 마련을 위한 코호트 사업


  또한, 국내 헬스케어·인공지능 분야 연구개발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코호트 기반 멀티모달 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 및 코호트 연구 강화를 위한 인공지능 에이전트를 개발함으로써 국가 바이오헬스 산업 경쟁력 제고와 전략적 기반 마련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질병관리청은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과 보건의료연구자원정보센터(CODA)**를 통해 국가연구개발사업에서 수집된 보건의료 인체유래물과 연구데이터를 표준화된 절차로 정제·분양한다. 더불어, 보건의료 연구자가 쉽고 편리하게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는 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운영·지원하고 있다.

 *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 국가 연구사업으로 확보된 인구집단 기반 인체자원을 표준화된 수집·관리 체계를 통해 연구자에게 분양 수행

 ** 보건의료연구자원정보센터(CODA) : 국가연구개발사업을 통해 수집된 보건의료 연구데이터를 통합·관리하여 2차적 연구활용을 위한 데이터 공유 및 연구 활용 플랫폼 운영


   임승관 질병관리청장은 이번 간담회가 “헬스케어 분야 민관 협력을 통해 개발될 양질의 인공지능 기반 진단·예측 기술이 국민건강 증진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향후, 질병관리청 국립보건원이 축적해온 헬스케어 멀티모달 데이터가 민간의 기술력과 결합되어, 인공지능 기반 보건의료 연구가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고, 김태형 바이오넥서스 대표는 “민간 기업에서 질병관리청 보유 데이터를 활용한 바이오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로 바이오 분야 인공지능 글로벌 리더십을 확보할 기회다.”라고 밝혔다.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국립보건연구원 저작물은“공공누리 제4유형”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nn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