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인체자원

수정일
2023-04-03
SHARE 링크연결 공유 인쇄

배경/목적

  • 보건의료 연구의 핵심 인프라인 연구용 인체자원(혈액, 조직 및 관련 유전, 임상·역학정보 등)의 국가적 관리·활용 체계 구축
  • 전국적인 인체자원은행 네트워크(한국인체자원은행네트워크, Korea Biobank Network, KBN) 구축을 통해, 연구자의 연구조건에 충족하는 인체자원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확보할 수 있는 공동 확보·활용 기반 구축

내용

2008년 시작된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Korea BIobank Project, KBP)은 유전체 기반 정밀의료 등 미래 보건의료 R&D에 활용될 인체자원을 국가차원에서 확보, 관리하여 국내 연구자에게 분양함으로써 보건의료연구 활성화 및 산업 발전을 지원

제1기(2008-2012): 보건의료 연구를 위한 안정적 윤리적 인체자원 공급·활용 체계 구축

  • 전국 대학병원 중심의 17개 인체자원단위은행과 함께 KBN을 구축
  • 한국인 인체자원 50만 명(중앙은행 30만명, 17개 단위은행 20만명) 수집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

제2기(2013-2015): 인체자원 분양 활성화를 통한 활용 극대화

  • 협력병원 참여를 통해 결핵, 방사선작업종사자 및 방사선치료암환자 등 특화된 혈액자원 확보 체계 구축
  • 인체자원연구지원센터 설립, 인체자원분양데스크 오픈 다양한 분양 서비스 체계 구축
  • 1,400여개 보건의료 R&D 연구과제를 지원하고 논문 472건, 특허 23건 창출에 기여

제3기(2016-2020): 미래 보건의료의 핵심 인프라로서 바이오뱅크

  • 대규모 인체유래물과 정밀의료 데이터가 연계된 질환중심형 바이오뱅크 사업을 추진
  • 인체자원의 수요자와 공급자 간 분양가능 인체자원의 정보 연계(KBN-Portal) 및 분양컨설팅(인체자원연구지원센터, ARS 1661-9070)을 위한 공유개방 플랫폼 구축사업 추진
  • KBN 내 임상역학정보 수집 표준화를 위한 KBN-CDM 개발 등 추진

제4기(2021-2025): 바이오뱅크를 통한 국가보건의료산업 활성화

  • 보건의료 R&D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인체자원은행 거버넌스 및 국가 인체자원은행 시스템 조성 방안 마련
  • 인체자원은행 특성화 지원 사업 추진(거점은행 10개소)
    • ※ (목표) 보건의료 R&D 환경변화와 연구수요에 따른 목적형 특성화질환 인체자원은행 육성 및 고부가가치 표준화 임상역학정보 연계를 통한 고품질 질환 연구자원의 확보와 활용 체계 고도화
  • 혁신형 바이오뱅킹 컨소시엄 지원 사업 추진(2개 컨소시엄)
    • ※ (목표) 목적형 고품질 인체자원 수집·활용 체계를 구축 및 개방형 기술 혁신을 기반으로 학술적·산업적 성과를 창출함으로써 바이오뱅크 혁신 생태계 구축
  • 질환 연구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수요자-공급자간 중개 서비스 플랫폼 구축·운영, 자원정보 표준화 지원 등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 비전 2030 추진전략 자세한 사항은 다음의 내용을 참조하세요

한국인체자원은행사업 비전 2030 추진전략

비전
바이오뱅크를 통한 국가보건의료산업 활성화, 세계 최고 수준 인재자원 관리·활용 생태계 조성
전략목표
  • 대규모, 고품질 인체자원 확보(200만 명 : KoGES 등 100만 명, 국가바이오빅데이터 100만명, 질환연계 임상역학정보 연계 100%, 유전체·오믹스 정보연계 80%)
  • 인체자원 활용 연구로부터의 자원 재생산성 제고(보건의료 연구에서 도출되는 인체자원 확보 제도화 및 관리체계 수립)
  • 수요자 접근성과 편리성을 중시한 분양체계 구축 (수요자 만족도 90점 이상 (100점 만점))
  • 자원 공유 및 공동 활용 바이오뱅크 네트워크 구축(자원공유 및 공동 활용을 위한 정보 표준화 항목 50종 이상 (‘19년 26종))
  • 기술지원, 교육 등을 통한 바이오뱅크 질적 수준 제고(2030년 인증 획득 인체자원은행 80% 이상 달성)
3대 추진 전략
  • 전략1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기능 및 역할 강화(정부 직접 수행))
  • 전략2 (질환자원중심 인체자원은행 네트워크 활성화(정부-민간 협력))
  • 전략3 (민간 인체자원은행 발전을 위한 기반 개선(제도·인프라 지원))

기대효과

  •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인체자원 관리와 법적 기반 구축을 통해, 생명윤리 및 안전이 확보된 대규모의 표준화된 인체자원 확보
  • 바이오뱅크 혁신 생태계 조성을 통한 국가 보건의료산업 활성화 및 국민의 건강 증진에 기여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국립보건연구원 저작물은“공공누리 제4유형”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nn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