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메뉴

보도참고자료

SHARE 페이지주소 복사하기 인쇄
[250612 보도참고자료] 미래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국가첨단백신개발센터 착공 -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 중장기 계획에 따른 100일/200일 내 백신 확보 위한
  • 담당부서백신연구개발총괄과
  • 연락처043-913-4153
  • 수정일2025-07-11
  • 조회수1400

미래감염병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국가첨단백신개발센터 착공


-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 중장기 계획에 따른 100일/200일 내 백신 확보 위한 첫걸음

- 백신 후보물질 사전 비축으로 팬데믹 시 신속한 국산백신 개발 지원 수행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 국립보건연구원(원장 박현영) ()국가첨단백신개발센터 (이하 첨단백신개발센터)의 성공적인 도약을 알리는 착공 기념행사612일 경북 안동 바이오 일반산업단지(백신산업 클러스터)에서 개최하였다.


< 국가첨단백신개발센터 건립 개요 >

추진일정 : (법인 등록)‘23.10, (착공)’25.6, (준공)’26년 말(예정)

건립규모 : 부지면적 9,964, 1개동, 지상 2, 지하 1(연면적 2,005.18), 독립 건물 형태

사 업 비 : 건립비 총 95억원(설계 3.2억원, 공사비 65.3억원, 대지비 20.2억원 등)

주요시설 : AI 서버실, 항원라이브러리 보관실, 실험실, 회의실, 업무시설 등


  첨단백신개발센터는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 중장기계획에 따라 100·200일 내 백신 확보 등을 지원하기 위해 2023질병청 산하법인으로 설립되었으며, 지자체(경상북도, 안동시)와 협력하여 운영되고 있다. 

첨단백신개발센터는 첨단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백신 연구 지원, 백신 후보물질 라이브러리(항원은행) 구축·보급 등을 통해 신속한 백신개발에 기여할 예정이다. 백신 후보물질 라이브러리는 국내에 확보된 유망한 백신 후보물질들을 체계적으로 비축, 관리하고 국내 연구기관과 기업에 분양함으로써,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 핵심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임재환 첨단백신개발센터장이번 센터 착공경북·안동 백신산업 클러스터활성화되고 질병청-지자체 간 감염병 대응 협력 강화를 위한 첫걸음이 될 것라고 밝혔다.

* 경북·안동 백신산업 클러스터: SK바이오사이언스 안동공장, 경북바이오산업연구원, 동물세포실증지원센터 등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최근 중국, 태국 등 인접국가에서 코로나19 재유행, 미국 등 국가에서 조류인플루엔자 인체감염 사례 발생 등 글로벌 감염병 위협이 지속되는 가운데 첨단백신개발센터는 국내 팬데믹 대비·대응 역량 도약을 위한 핵심 인프라 역할을 할 것이라며 백신 주권 확립 글로벌 공중 보건에 기여하는 센터자리매김 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라고 강조하였다.

 

<붙임> 1. 국가첨단백신개발센터 건립 착공식 개요

            2. 국가첨단백신개발센터 신축사업 개요

            3. 국가첨단백신개발센터 구축사업 개요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국립보건연구원 저작물은“공공누리 제4유형”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nn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