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신변종 인플루엔자 대응을 위한 mRNA백신 후보물질 개발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김진일 |
2024-05-15 ~ 2024-12-31 |
225,000 |
감염병백신연구과 |
신변종 인플루엔자 대응을 위한 mRNA백신 후보물질 개발 과제정보 바로가기
|
연구내용요약
|
2 |
국내개발 신규 mRNA 백신 전달체 최적화 연구 |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
박윤정 |
2024-04-01 ~ 2024-12-31 |
180,000 |
감염병백신연구과 |
국내개발 신규 mRNA 백신 전달체 최적화 연구 과제정보 바로가기
|
연구내용요약
- 1차년도 : 전달체-mRNA 제형 최적화 조건 및 특성 분석
○ 신규 전달체 활용 mRNA 백신 정제조건 및 in vitro 특성 분석
- 신규 전달체 : 선행연구로 발굴, 국내외 지식재산권 확보된 펩타이드 기반 mRNA 백신 전달체
- 리포터 유전자 1종 및 항원유전자 최소 2종 선정 및 전달체-mRNA 최적화 비율(봉입) 확인
- 최적화된 전달체-mRNA 입자의 보관안정성, 입자크기, 균일성, 표면 전하 등 물리적 특성과 표면 형태 등 이화학적 특성 확인, 최적의 보관 온도 및 기간 확립
- 최소 2종 이상의 항원 및 세포주에 대해 기존 LNP와 비교하여 세포기반 단백질 발현 역가 확인
- 전달체 조성 물질 정제 조건 확립
2차년도 : In vivo 접종에 따른 체내 전달체 특성 확인
○ 마우스 모델에서 물질 특성 분석
- 전달체-리포터 mRNA 접종루트 별 체내 지속기간 조사
- 전달체-항원 mRNA에 대한 접종루트에 따른 면역원성, 면역지속기간 및 체내 분포도 분석
- 전달체 정제 및 전달체-mRNA 제형화 SOP 작성
|
3 |
3세대 두창 원숭이두창 백신 임상1상 연구 |
주식회사 에이치케이이노엔 |
안성현 |
2024-05-15 ~ 2025-03-31 |
1,350,000 |
감염병백신연구과 |
3세대 두창 원숭이두창 백신 임상1상 연구 과제정보 바로가기
|
연구내용요약
|
4 |
한타 mRNA 백신 후보물질 개발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석종현 |
2024-06-01 ~ 2024-12-31 |
225,000 |
감염병백신연구과 |
한타 mRNA 백신 후보물질 개발 과제정보 바로가기
|
연구내용요약
- ◈ 1차 연도 연구 목표 및 범위
ㆍ 한타바이러스 교차면역원성 항원 후보 도출
- Gn/Gc 항원의 유전정보를 활용하여 시계열적 분자계통 분석을 통한 교차면역원성 항원 후보 도출
- 교차면역원성 항원 후보의 항원성과 구조 안정성 분석 및 적용 후보 선별
ㆍ Lariat cap 구조를 가지는 한타 mRNA 항원 후보물질 도출
- mRNA 구조 안정화 특허 회피가 가능한 Lariat cap 구조를 활용한 백신 후보물질 도출
- 교차면역원성 한타 Lariat-capped RNA 백신 후보물질의 in vitro 항원 발현 확인
ㆍ 한타 mRNA 백신 효능평가법 구축
- 한탄 및 서울 바이러스의 배양 조건 확립
- 백신 접종에 따른 체액성 면역반응 (결합/중화항체가) 및 세포성 면역반응 (ELISpot) 분석법 구축
◈ 2차 연도 연구 목표 및 범위
ㆍ Lariat cap 구조를 가지는 한타 mRNA-LNP 백신 후보물질 도출
- 교차면역원성 한타 Lariat-capped RNA 백신 후보물질의 LNP 제형 최적화
ㆍ 한타 Lariat-capped RNA 교차면역원성 백신 후보물질의 in vivo 효능평가
- 백신 후보물질의 in vivo 효능평가를 위한 동물모델 구축
- Lariat-mRNA 백신 후보물질의 접종 및 공격접종 시험을 통한 항원성 및 방어능 분석
ㆍ Lariat-capped RNA 백신후보물질의 면역원성 평가
- Lariat-capped RNA 백신후보물질의 접종에 따른 체액성 (ELISA/PRNT) 및 세포성 면역반응 (ELISpot) 분석
- 교차면역원성 한타 Lariat-capped RNA 백신 후보물질의 한탄바이러스 및 서울바이러스 등에 대한 교차 중화능 분석
- 한타박스 상용 백신과의 면역반응 비교분석
|
5 |
약독화 백시니아 바이러스 기반 재조합 바이러스 벡터 개발 |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
송창선 |
2024-06-05 ~ 2024-12-31 |
194,000 |
감염병백신연구과 |
약독화 백시니아 바이러스 기반 재조합 바이러스 벡터 개발 과제정보 바로가기
|
연구내용요약
- 1. 1차년도
1) 약독화 두창백신주의 genome 분석을 통한 recombination site 조사
- 약독화 두창백신주의 전장 유전체 분석
- homologous recombination site 후보 탐색
2) 신규한 약독화 두창백신주 재조합 바이러스 제작 기술 확보
- 재조합 vaccinia 제작 특허 조사를 통한 기존 특허 회피 전략 수립 및 적용
- backbone vector 및 프로모터 조사, 선정을 통한 개선된 재조합 바이러스 제작 기술 확보
- 외부 항원이 재조합된 바이러스 선별 방법 확립
- 임상시험에 적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reporter 유전자와 target 항원 유전자를 치환하는 방식으로 안전성이 높은 백신 후보주를 제작
2. 2차년도
1) 약독화 두창백신주 기반 재조합 바이러스 제작 후 평가 지표 확인 및 제작 SOP 작성
- 리포터 유전자 1종 포함, 최소 2종 이상의 유전자를 활용한 재조합 바이러스 제작
- 선정된 recombination sites에 따른 in vivo/in vitro 항원 발현양 평가
- 벡터 시스템의 재조합 효율성 평가 및 계대에 따른 유전자 안정성 평가
- 재조합 바이러스 제작 방법, 대량 생산 및 정제법 확립 및 SOP 제작
2) 재조합 백시니아 바이러스 제작 후 동물 모델을 통한 면역원성 비교
- 고병원성 조류 인플루엔자의 HA 유전자가 삽입된 재조합 백시니아 바이러스의 동물모델을 통한 면역원성 비교
|
6 |
디지털 기반 노쇠(frailty) 평가 및 관리기술 개발 |
주식회사 디파이 |
노현철 |
2024-01-01 ~ 2024-12-31 |
500,000 |
헬스케어인공지능연구과 |
디지털 기반 노쇠(frailty) 평가 및 관리기술 개발 과제정보 바로가기
|
연구내용요약
|
7 |
공공백신개발 우선순위 병원체자원의 특성 고도화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김원근 |
2024-05-01 ~ 2024-12-31 |
142,500 |
병원체자원관리과 |
공공백신개발 우선순위 병원체자원의 특성 고도화 과제정보 바로가기
|
연구내용요약
- <1세부> 공공백신개발 우선 순위 고품질 병원체자원 확보 및 특성분석
ㆍ 대상 병원체자원 확보
- 한타바이러스 (한탄, 서울),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 뎅기열바이러스, 치쿤구니야바이러스 총 30주 내외
ㆍ 병원체자원 품질정보 확보
ㆍ NGS를 이용한 병원체자원의 전장유전자 확보 및 유전학적 특성 분석
ㆍ 발주부서 지원내용 등 필요 시 보유자원 및 배양 절차서 제공
<2세부> 국가병원체자원은행 보유 병원체 전장유전체정보 DB 및 분석 도구 고도화
ㆍ 국가병원체자원은행 전장유전체정보 DB 고도화 및 참조주 DB 구축
ㆍ 대상 병원체자원 별 전장유전체정보 분석 파이프라인 개발 및 검증
ㆍ 병원체자원 3D 단백질 구조 분석 파이프라인 고도화
ㆍ 병원체자원 분석 파이프라인을 이용한 대상 병원체자원의 분석 결과 창출
ㆍ 발주부서 지원내용 등 DB구축을 위한 시설 지원
|
8 |
다기능성 기억T세포 반응 분석을 통한 감염병 백신 적응면역 기전 연구 |
삼성서울병원 |
고재훈 |
2024-05-28 ~ 2024-12-31 |
225,000 |
백신임상연구과 |
다기능성 기억T세포 반응 분석을 통한 감염병 백신 적응면역 기전 연구 과제정보 바로가기
|
연구내용요약
|
9 |
지역사회 기반 급성 뇌졸중 환자 전문 응급이송체계 고도화 및 확산 연구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오미선 |
2024-01-01 ~ 2024-12-31 |
350,000 |
심혈관질환연구과 |
지역사회 기반 급성 뇌졸중 환자 전문 응급이송체계 고도화 및 확산 연구 과제정보 바로가기
|
연구내용요약
|
10 |
지역사회 기반 노인 치매고위험군 추적조사를 통한 치매예방관리 연구 |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
이건호 |
2024-01-01 ~ 2024-12-31 |
354,000 |
뇌질환연구과 |
지역사회 기반 노인 치매고위험군 추적조사를 통한 치매예방관리 연구 과제정보 바로가기
|
연구내용요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