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메뉴

보도자료

SHARE 페이지주소 복사하기 인쇄
[250619] mRNA에서 미래로: 감염병 대응을 위한 첨단 백신 기술 전략 논의
  • 담당부서백신연구개발총괄과
  • 연락처043-913-4150
  • 수정일2025-07-11
  • 조회수32
mRNA에서 미래로: 감염병 대응을 위한 첨단 백신 기술 전략 논의

- ‘mRNA 및 백신 플랫폼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질병청과 국제백신연구소 「제6차 글로벌백신 포럼」 공동 개최(6.19.(목))
- 첨단 백신 플랫폼 기술에 대한 개발 전략과 민관협력 모색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 국립보건연구원(원장 박현영)619() 서울 포시즌스 호텔(서울 종로구)에서 국제백신연구소6차 글로벌백신 포럼공동 개최한다.

 

  이번 포럼은 ‘mRNA 및 백신 플랫폼 기술의 현재와 미래를 주제로, 국내전문가와 함께 첨단 백신 플랫폼 기술에 대한 연구현황 공유 및 개발 전략에 대해 깊이있게 논의하는 자리.

 

  포럼에서는 한국의 백신개발 현황(김도근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장, 질병관리청)자가증폭 mRNA 기술(산자이씽, 인도 제노바 바이오제약 CEO)에 대해 기조연설을 하고, CEPI(전염병대비혁신연합)의 백신개발전략에 대해 마티나 오츠스 박사가 발표한다.

 

  이어 AI를 활용한 백신개발 동향(백민경 교수, 서울대), 감염병 예방치료 뿐 아니라 암, 유전질환 등 다양한 질환으로 확장하는 mRNA 기술(로버트 파리스, 모더나 부사장), 팬데믹 선제적 대비와 신속 대응을 위한 전략 플랫폼(홍기종 교수, 가천대), 자가증폭 mRNA 기술(제럴드 맥이너니, 카롤린스카 연구소) 한국 기업의 백신 개발 현황(SML 바이오팜, GC바이오파마, SK바이오사이언스) 발표를 통해 mRNA 기술의 현재를 조명하고, 미래를 대비하는 백신 개발전략에 대해 논의한다.

 

  지영미 청장신변종 감염병 및 미래 팬데믹 대비 안전하고 신속한 백신 개발이 필수적임을 강조하면서, “감염병 백신 연구의 전문가들과 첨단 백신 플랫폼 기술에 대한 연구 성과, 전략을 공유하고, 글로벌 협력 체계, 백신개발 역량 지속적으로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붙임> 6차 글로벌 백신 포럼 개요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국립보건연구원 저작물은“공공누리 제4유형”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nn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