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메뉴

보도자료

SHARE 페이지주소 복사하기 인쇄
[250328]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인체자원개방 확대로 노화·노인성 질환 연구 활성화 기대
  • 담당부서바이오뱅크과
  • 연락처043-719-6534
  • 수정일2025-03-28
  • 조회수85

[보도자료]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인체자원개방 확대로 노화·노인성 질환 연구 활성화 기대


보도시점 2025. 3. 27.(목) 12:00,    배포 2025. 3. 27.(목) 08:00


- 지역사회코호트 10차 추적 등 약 1만 명분의 인체 자원 추가 공개(3.28.) 

- 노화,노인성 질환,암질환 관련 보건의료 연구 활성화 기대


질병관리청(청장 지영미) 국립보건연구원(원장 박현영)은 지역사회코호트 10차 추적 5,511명분, 만성뇌혈관 128명분, 육종암 194명분 등을 포함한 약 1만 명분의 인체자원*을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을 통해 3월 28일자로 추가 개방한다.

 * 인체유래물,   임상․역학정보,   유전체   정보   등


%EC%8A%A4%ED%81%AC%EB%A6%B0%EC%83%B7%202025-03-28%20135707.png


 [1. 한국인 유전체 역학조사사업(KoGES)]

 

한국인 유전체 역학조사사업 데이터는 유전체분석으로, ▲고요산혈증 고위험군 조기 발견, ▲당뇨병과 당뇨 합병증 발생 위험도 차이 확인, ▲붉은 가공육 섭취에 따른 한국인 사망 위험 증가 연구 등에 활용되었으며, 특히, 이번에 공개되는 인체자원*은 최근 국민 관심이 높은 노화 및 노인성 질환 발생 관련 연구, 대기오염 영양 연구 등에 활용된다.

  * 지역사회 코호트 10차 추적 조사를 통해 확보한 1,388개 변수와 대기오염연계자료(’21~’22년) 567개 변수, 지역사회코호트 반복추적통합자료(기반자료와 1기부터 10기까지 축적한 자료) 등 포함 

 

  [2. 만성 뇌혈관질환 바이오뱅크 컨소시엄]

 

지난해 만성뇌혈관 바이오뱅크 컨소시엄 사업을 통해 공개된 1,174명분의 인체자원은 알츠하이며, 치매 연구 등 13개 만성질환 연구 과제에 분양하여 활용되고 있으며, 이번에 128명분*이 추가 공개됨으로써, 누적 1,252명분의 인체자원이 공개된다. 

 * 128명분(신규 78명분, 추전 50명분)의 인체유래물(DNA, 혈청, 혈장, 섬유아세포, 단핵세포) 및 임상‧역학정보, 뇌영상정보(PETSurfer_SUVr, RfeeSurfer_GMV), 라이프로그 정보와 추가된 78명분의 한국인 칩(Korea Biobank Array)

 

  [3. 육종암 바이오뱅크 컨소시엄]

 

마지막으로, 육종암 바이오뱅크 컨소시엄 사업을 통해 확보한 인체자원은 지난해 199명분이 공개되었으며, 이번에 194명분*이 추가 공개 됨으로써, 누적 393명분의 인체자원이 공개된다. 

 * 194명분의 인체유래물(혈청, 혈장, 전혈, 신선동결조직) 및 임상‧역학정보

 

공개되는 인체 자원은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누리집에서 분양신청이 가능하며,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분양위원회 심의를 거쳐 연구자에게 제공될 예정이다. 

 

자세한 분양신청 방법 및 구비서류는 분양 상담 콜센터(1661-9070) 또는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누리집*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누리집(https://biobank.nih.go.kr)

 

박현영 국립보건연구원장은 “고품질의 인체자원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고 공개함으로써, 바이오헬스 연구와 산업 발전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며, “이번 인체자원 공개가 노화, 노인성 질환, 암 질환에 관한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라고 밝혔다.

 

 

<붙임>  신규 공개 대상 인체자원 세부 내용


본 공공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국립보건연구원 저작물은“공공누리 제4유형”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conn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