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연구분야
실적
- 노인복지전달체계 시범사업(화성, 춘천))
- 건강보험 적정성 평가방안 개편
메시지
보건의료 분야 R&D 기획기능을 강화하고 산업계․학계․연구기관․병원 등과의 협업기능을 높여 대한민국 보건의료 R&D 발전을 위한 국가역할을 높인다.
주요연구분야
- 비만, 식이, 미세먼지 등 건강위해요인이 만성질환 발생 및 예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실적
- Dietary carbohydrate quality and quantity in relation to the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A
prospective cohort study in middle-aged and older Korean adults. Nutrition. 2019.
- Identification of dietary patterns associated with incidence of hyperglycemia in middle-aged and older
Korean adults. Nutrients. 2019.
메시지
만성질환융복합연구부는 만성질환 걱정 없는 건강한 사회를 위하여 심혈관, 뇌질환, 내분비대사질환, 호흡기․알레르기질환, 난치성질환을 중심으로 전주기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줄기세포 등
재생의료 연구를 지원, 관리하고 있습니다.
주요연구분야
- 코로나19, 인플루엔자, SFTS 등 신변종 및 급성 바이러스 감염질환 진단〮치료〮면역 등 제어기술 개발 연구
실적
- 논문) The J2N-k hamster model simulates a severe SARS-CoV-2 infection in patients with cardiovascular
diseases. 2022. J Virol Methods.
- 논문) Persistence of the neutralising antibody response after SARS-CoV-2 infection. 2021. Clin Microbiol
Infect. 등
- 특허) 한국형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에 감수성을 가지는 인간 DPP4유전자를 폐 조직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형질전환 마우스와 이의 용도. 2021. 등
메시지
신종바이러스연구센터는 코로나19, 인플루엔자, 에이즈 등 급·만성 바이러스 감염병에 대한 치료제 및 제어 기술을 개발하고, 임상 중개 연구를 통하여 전주기적 연구 기반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주요연구분야
- 결핵, 항생제 내성, 인수공통 등 세균성 감염병 진단·치료 및 감염전파 제어 핵심기술 개발
- 임상연계 기반의 치료 신기술 개발 지원
실적
- 논문) Development of an attenuated smallpox vaccine candidate: The KVAC103 strain
- 논문) Optimization of Zika DNA vaccine by delivery systems 외 10건
- 특허) 지카바이러스 E단백질 유래의 재조합 항원 및 이의 용도 외 3건
메시지
2020년 9월, 국립감염병연구소 개소에 따라 감염병연구센터는 세균성 감염병을 전담하고 전주기 연구와 지원 업무로 확대 개편하여 국민 보건 향상에 기여하겠습니다.